≥Winter_leaf
위치 - 운동량에 대한 불확정성 원리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 고전역학의 예측과 달리 양자역학에서는 위치와 운동량이 확정적인 값을 가질 수 없으며, 두 측정값의 정확도는 제한되어 있다. 즉,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측정하는 행위에 본질적인 불확실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위치를 더 정확하게 알수록 운동량은 더 불확실해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불확정성 원리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관계에만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역학의 일반적인 관측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수학적 정의]
1. 위치와 운동량 : △x·△p ≥ h/4π (△x·△p ≥ ℏ/2)
2. 에너지와 시간 : △E·△t ≥ h/4π (△E·△t ≥ ℏ/2)
- △x : 위치에 대한 불확정성
- △p : 운동량에 대한 불확정성
- △E : 에너지에 대한 불확정성
- △t : 시간 측정에 대한 불확정성
- h : 플랑크 상수
- ℏ : 플랑크 상수를 2π로 나눈 값
위의 방정식에서 측정에 대한 정밀도를 통해 다른 물리적 속성의 불확실성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속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매우 작아지면 즉, 매우 정밀한 측정이 이뤄지면 다른 속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
수학적 정의 외에도 위치를 더 정밀하게 측정하려고 시도할수록 시스템에 더 많은 혼란이 발생하여 운동량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미경으로 입자를 관측할 경우 현미경에 사용하는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입자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짧은 파장의 빛은 광자의 운동량이 매우 커서 입자의 운동량에 변화를 일으켜 운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됩니다. 긴 파장의 광자를 사용할 경우 광자의 충돌이 입자의 운동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입자의 위치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합니다.
광자로 입자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이 발생해야 합니다. 즉 광자와 입자 사이에 충돌이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광자의 운동량 중 일부가 측정하려는 입자에 전달되어 입자의 운동량에 변화를 가져옵니다. |
사실 입자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만약 입자가 공간에 존재한다면 우리는 그것이 어디에 있는지 가리킬 수 있다는 것이 직관적입니다. 하지만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입자는 파동 특성으로 인해 공간 전체에 퍼져서 정확한 위치 대신 넓은 범위에 다양한 위치를 갖습니다.
불확정성 원리는 슈뢰딩거 고양이 사고 실험인 관찰자 효과와는 다른 문제입니다. 불확정성 원리는 실제로 관찰을 하든 하지 않든 간에 양자 시스템의 거동에 대해 설명하는 기본적인 원리이며, 관찰자 효과는 특정 유형의 관찰을 수행하면 시스템 자체가 해당 관찰이 없는 경우와 다르게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Winter_leaf
'1.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의 다른 이름 광자(Photon, 빛알)의 기본 특성 (0) | 2023.10.19 |
---|---|
원소를 변환하는 핵분열 & 핵융합 (1) | 2023.10.17 |
관성 모멘트 기본 개념 및 물체의 모양과 회전 방식에 따른 공식 (0) | 2023.10.12 |
자연에 존재하는 힘 :: 4가지 기본 힘 (0) | 2023.10.10 |
물질의 구성요소 원자와 분자 :: 원자핵(양성자, 중성자), 전자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