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nter_leaf
섬유 분류표
섬유란 가늘고 긴 형태의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물질을 말하며, 원료의 출처나 제조방법에 따라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분류합니다.
1. 천연섬유
자연 상태에서 이미 섬유상으로 되어 있고, 비교적 간단한 물리적 방법에 의해 섬유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 크게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섬유로 구분할 수 있다.
- 식물성 섬유 : 면(Cotton), 아마(Linnen), 저마(Ramie, 모시), 대마(Hemp, 삼베) 등
- 동물성 섬유 : 양모(Wool), 견(Silk), 카멜모(Camel hair), 캐시미어(Cashmere hair) 등
- 광물성 섬유 : 석면(Asbestos)
- 면섬유 : 흡수성이 좋아 쾌적하고,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습윤 시 강도가 증가하고 알칼리에 강해 세탁이 편리하다.
- 마섬유 : 면과 같은 셀룰로오스가 주성분이며 매끄러운 표면과 견과 같은 광택을 지닌다. 시원한 느낌의 촉감으로 여름철 의류에 많이 사용됨.
- 모섬유 : 주성분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이며 보온성이 크고 가벼우며 구김이 덜 가는 특징이 있다.
- 견섬유 : 주성분은 피브로인이라고 하는 단백질이며 촉감이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광택을 지닌다. 가볍고 질기나 젖으면 강도가 약해진다.
반응형
2. 인조섬유
인공적으로 만들어 낸 섬유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천연 원료를 가공하여 만든 재생섬유와 화학적 합성으로 만든 합성섬유가 있다.
- 재생섬유(반합성 섬유) : 레이온(Rayon), 아세테이트(Acetate) 등
- 합성섬유 : 나일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우레탄 등
- 무기섬유 : 금속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암석섬유 등
- 나일론 : 석탄이나 석유로 원료로 하여 모노머를 길게 결합/합성하여 만든 폴리아미드 섬유로 신도가 크고 섬유 중 강도가 가장 크다. 정전기와 보플이 쉽게 발생한다.
- 폴리에스터 : 나일론과 마찬가지로 화석원료를 이용하며 에스터 결합이 무수히 많아 폴리에스터라고 불린다. 강도와 내광성, 일광견뢰도가 우수하고 세탁 후 쉽게 건조되는 특징이 있다.
- 아크릴 : 아크릴로니트릴을 중합하여 만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로 가볍고 부드러우며 보온성과 탄력성이 좋다.
- 폴리우레탄 :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큰 합성섬유로 스판덱스로 불린다. 탄성이 아주 우수해 고무 대용으로 쓰이며, 마찰이나 굴곡강도가 고무보다 우수하다.
Winter_leaf
반응형
'1.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에 존재하는 힘 :: 4가지 기본 힘 (0) | 2023.10.10 |
---|---|
물질의 구성요소 원자와 분자 :: 원자핵(양성자, 중성자), 전자 (0) | 2023.09.07 |
[희토류] 자연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 (0) | 2023.08.30 |
특수 상대성이론, 일반 상대성이론 간단 요약 (1) | 2023.08.16 |
방사선, 방사능, 방사성 물질 등 용어 설명 (0) | 2023.08.07 |